올림픽은 인류가 이룬 스포츠의 정점을 보여주는 무대다. 그러나 그 이면엔 너무 위험하거나, 경기의 공정성을 해치는 기술들이 존재한다. 이 기술들은 실제로 경기를 더 흥미롭게 만들 수도 있지만, 선수의 생명까지 위협할 수 있어 금지되었다. 지금부터 우리가 몰랐던 금지돼서 다행인 올림픽 기술들의 세계를 깊이 들여다보자.
회전력의 미학, 하지만 너무 위험했던 ‘죽음의 백플립’ (The Forbidden Flip)
체조 경기에서 금지된 기술 중 가장 유명한 것은 '토마스 플레어'와 '죽음의 백플립'이다. 특히 죽음의 백플립은 공중에서 1.5바퀴 이상을 회전하며 착지하는 기술로, 체조 역사상 가장 위험한 기술 중 하나로 꼽힌다. 미국의 체조 선수 **엘레나 무흐리나(Elena Mukhina)**는 이 기술을 연습하다 목뼈가 부러지는 중상을 입었고, 이는 결국 그녀의 선수 생명을 앗아갔다.
나는 이 기술을 마스터했지만, 내 몸은 무너졌다.
엘레나 무흐리나, 1980년대 인터뷰 중
이후 국제체조연맹(FIG)은 이 기술을 전면 금지했다. 실제로 당시 국제올림픽위원회(IOC)는 ‘선수 보호’를 이유로 기술의 난이도에 제한을 두기 시작했으며, 이와 같은 고난도 기술은 공식적으로 금지됐다. 만약 이 기술이 오늘날에도 허용됐다면, 경기장마다 구급차가 대기했을지도 모른다. 이러한 기술은 오늘날 유튜브에서 ‘banned gymnastics moves’로 검색하면 여전히 높은 조회수를 기록하고 있다. 하지만 이제는 ‘보여주는 기술’이 아닌 ‘잊혀야 할 경고’로 남는다.
수영의 반칙왕, 돌고래 킥의 그림자 (IUnderwater Dolphin Kick)
수영에서 '돌고래 킥(Dolphin Kick)'은 원래 배영에서만 제한적으로 허용되던 기술이다. 그러나 이를 이용해 스타트 이후 수면 아래에서 빠르게 움직이며 불공정한 이점을 얻는 선수들이 나타났다. 특히 2008년 베이징 올림픽에서 **미국 수영 영웅 마이클 펠프스(Michael Phelps)**가 이 기술을 극한으로 사용해 논란이 일었다. 물론 그는 규정 내에서 기술을 사용했지만, 이후 세계수영연맹(FINA)은 수면 아래에서 킥을 사용할 수 있는 거리(15m)를 제한하고, 반복적 사용 시 실격 처리하도록 규정했다.
기술이 발전하는 건 환영하지만, 규칙 안에서 이뤄져야 한다.
마이클 펠프스, 2012년 인터뷰
돌고래 킥은 여전히 일부 선수들이 몰래 사용하는 ‘회색지대 기술’로 남아 있다. 오늘날에도 ‘banned swimming moves’라는 검색어로 돌고래 킥 관련 콘텐츠가 화제를 모으는 이유는, 그만큼 시청자 입장에선 시원하고 빠른 동작이지만 경기의 공정성을 해칠 수 있기 때문이다.
투척의 미친 각도, 스핀 점프 창던지기 (Rotational Javelin Throw)
육상에서도 이색적인 기술이 존재했다. 과거 창던지기 종목에서 '회전 기술(Rotational Technique)'이 한때 실험적으로 사용됐다. 이는 포환던지기처럼 몸을 회전시켜 창에 더 많은 에너지를 싣는 방식이다. 1984년 한 노르웨이 선수는 이 방법으로 비공식 세계기록을 세웠지만, 문제는 위험성이었다. 창이 정확히 전방으로 날아가지 않고, 간혹 옆 관중석이나 경기 관계자에게 향하는 사고가 잇따랐다. 이후 국제육상경기연맹은 이 기술을 공식적으로 금지했다. 단순히 기술이 뛰어나서가 아니라, “경기장의 안전을 보장할 수 없기 때문”이었다.
기술은 기록을 넘어서야 하지만, 그 전에 생명을 존중해야 한다.
세바스찬 코(Sebastian Coe), 전 세계육상연맹 회장
현재도 육상 분야에서 ‘banned Olympic techniques’ 중 하나로 가장 자주 언급되는 이 기술은, 기술 발전이 항상 스포츠의 진보로 이어지지 않는다는 사실을 잘 보여준다.
자주 묻는 질문들 (FAQ)
1. 올림픽에서 기술이 금지되면 다시 부활할 가능성은 없나요?
기술 금지는 대부분 선수의 안전 문제 때문이므로, 그 기술이 안전하게 수행될 수 있는 장비나 규칙이 마련되지 않는 이상 재도입되기 어렵습니다.
2. 금지 기술을 시도하면 어떤 페널티가 있나요?
경기 실격은 물론, 심할 경우 선수 자격 박탈도 가능합니다. 올림픽 정신은 ‘정정당당한 경기’를 무엇보다 중요시합니다.
3. 금지 기술이 실제 경기에서 사용된 사례가 있나요?
과거에는 명확한 규정이 없어 쓰이던 기술도 있었지만, 현대 올림픽에서는 심판과 VAR 기술로 철저히 관리되고 있습니다.
4. 가장 많이 금지된 종목은 무엇인가요?
체조, 수영, 육상이 대표적입니다. 이들 종목은 기술 발전이 빠른 만큼 금지 규정도 지속적으로 업데이트됩니다.
5. 기술 금지가 선수들의 창의성을 억제하지 않나요?
일부 그렇게 볼 수도 있지만, 안전과 공정성을 우선시하는 것이 국제 스포츠의 기본 원칙입니다.
6. 금지된 기술을 현재 스포츠 교육에서 배우나요?
일부 체육대학교나 연구소에서 역사적 교육 자료로만 다루며, 실제 훈련에는 사용되지 않습니다.
'스포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맨유의 끝? 래시포드, 바르셀로나와 연결된 진짜 이유 (12) | 2025.07.20 |
---|---|
나이키의 스포츠 마케팅의 비밀 (44) | 2025.07.19 |
세계 최고의 자전거 대회 완전 분석(로드 레이스와 MTB 챔피언십) (22) | 2025.07.19 |
자전거 종류 완전정리(로드, MTB, 하이브리드) (12) | 2025.07.18 |
입스 극복에 필요한 심리 전략과 실제 선수 사례 (43) | 2025.07.16 |